본문 바로가기

해외 생활 이야기

주재원이 많이 거주하는 나라, 도시 TOP 10

728x90
반응형
SMALL

 
전 세계적으로 주재원이 많이 거주하는 나라, 도시는 어디일까요?
 
아마도 다국적 기업의 본사나 지역 허브, 비즈니스 환경, 생활 인프라, 안전성 등을 기준으로 선택이 되는 도시들이겠죠?
 

 

[ 목차 ]

1. 주재원이 많이 거주하는 나라 & 도시 TOP 10

2. 한국인 주재원이 많이 파견되는 나라들 (업종 기준)

3. 주재원들이 흔히 받는 혜택

4. 주재원은 어떻게 될 수 있나요?

5. 마무리

 

1. 주재원이 많이 거주하는 나라 & 도시 TOP 10

1) 싱가포르 (Singapore)

  • 이유: 동남아시아 금융·무역 허브, 영어 사용, 치안 우수, 세금 우대
  • 주재원 주요 분야: 금융, 물류, IT, 스타트업, 본사 운영
  • 특징: 글로벌 본사 및 지사 밀집, 자녀 교육 환경 우수 (국제학교 다양)

 

2) 홍콩 (Hong Koung)

  • 이유: 아시아 금융 중심지, 중국 시장과의 접근성
  • 주재원 주요 분야: 금융, 무역, 보험, 법률, 부동산
  • 최근 변화: 정치적 이슈로 주재원 감소 추세, 일부는 싱가포르로 이동

 

3)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 (Dubai)

  • 이유: 중동·아프리카를 커버하는 비즈니스 허브, 무역 중심지
  • 주재원 주요 분야: 석유·가스, 건설, 금융, 스타트업
  • 특징: 외국인 비율이 매우 높고, 고급 서비스 아파트 밀집

 

4) 미국 (New York, San Francisco, LA 등)

  • 이유: 글로벌 경제 중심지, 다양한 산업군의 본사 존재
  • 주재원 주요 분야: IT, 금융, 엔터테인먼트, 제조, 외교
  • 특징: 미국 전역에 주재원이 고르게 분포

 

5) 스위스 – 제네바 / 취리히

  • 이유: 다국적 기업 본사, 국제기구 밀집 (UN, WHO 등)
  • 주재원 주요 분야: 제약, 금융, 외교, 국제기구, 컨설팅
  • 특징: 생활 수준 높고, 자녀 교육 환경 우수

 

6) 영국 – 런던

  • 이유: 유럽 금융 허브, 글로벌 본부 운영 중심지
  • 주재원 주요 분야: 금융, 법률, 컨설팅, IT
  • 특징: 다양한 국가의 주재원들이 모여 있는 대표 도시

 

7) 중국 – 상하이 / 베이징 / 선전

  • 이유: 중국 시장 진출 거점, 글로벌 제조·소비 시장
  • 주재원 주요 분야: 제조, 무역, IT, 스타트업, 마케팅
  • 특징: 최근엔 외국인 수 다소 감소 (코로나 이후 규제 강화 영향)

 

8) 일본 – 도쿄 / 오사카

  • 이유: 아시아 주요 시장, 기술·금융 중심지
  • 주재원 주요 분야: 기술, 금융, 자동차, 제조, 엔터테인먼트
  • 특징: 안정적인 생활 환경, 교육 인프라 우수

 

9) 독일 – 프랑크푸르트 / 뮌헨 / 베를린

  • 이유: 유럽 최대 경제국, 제조업 및 금융 중심
  • 주재원 주요 분야: 자동차, 기계, IT, 바이오, 금융
  • 특징: EU 내 전략 거점으로서 인프라 우수

 

10)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

  • 이유: 동남아의 저비용 고효율 거점, 영어 가능, 외국인 친화적
  • 주재원 주요 분야: 제조, 건설, IT 백오피스, 무역, 스타트업
  • 특징: 가족 동반 생활 인프라 풍부, 국제학교 다양

 

2. 한국인 주재원이 많이 파견되는 나라들 (업종 기준)

  • 미국: 대기업 본사, 무역, 연구소
  • 중국: 제조·기계, 소비재, 유통
  • 베트남: 건설·플랜트, 제조, 유통
  • 인도네시아: 자원, 플랜트
  • 싱가포르/말레이시아: 무역·물류·IT

 

3. 주재원들이 흔히 받는 혜택

보통 5가지 정도가 있어요.
해외 주재원(Expats)이 받는
혜택은 산업, 회사, 파견 국가에 따라 많이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상당히 다양한 보상과 지원을 받는 편입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낯선 환경에서 안정적인 생활을 보장하고 업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거겠죠.
 

1) 주거 지원

대부분의 주재원은 회사에서 주택을 제공 받거나 월세를 지원받습니다.
고급 콘도, 서비스 아파트, 단독주택 등 옵션에서 선택할 수 있어요.
가구 완비형(Fully furnished) 아파트가 제공되는 경우가 많지요.
예: 말레이시아의 경우 몽키아라(Mont Kiara), 방사르(Bangsar) 같은 외국인 밀집 지역에 거주
 

2) 항공료 및 귀국 휴가

연 1회 또는 2회 한국 왕복 항공권 제공 (본인 + 가족)
장기 체류 시 중간 휴가나 "홈 리브(Home Leave)" 명목으로 항공권 지원
파견 및 귀국 시 이삿짐 운송 비용도 포함되기도 함
 

3) 자녀 교육비 지원

국제학교 학비 전액 또는 일부 지원 (IB, IGCSE, 미국식 커리큘럼 등)
학교 선택도 회사가 도와주는 경우 많아요.
일부는 유치원부터 고등학교까지 전액 지원
예: Garden International School, Mont’Kiara International School (말레이시아 기준)
 

4) 차량 및 교통비 제공

회사 차량 제공 또는 차량 렌트비, 운전기사 포함
통근비, 유류비 실비 지원
 

5) 의료 및 보험 혜택

국제 의료 보험 (Bupa, Cigna 등) 제공
고급 사립병원 이용 가능 (한국어 가능한 병원 안내 포함)
정기 건강검진, 치과 치료비 포함되는 경우도 있음
 
 

4. 주재원은 어떻게 될 수 있나요?

1) 주재원을 파견하는 기업에 입사를 해야 되겠지요?

주재원은 보통 대기업, 중견 글로벌 기업, 외국계 기업에서 파견됩니다.
파견 기업 예시:

  • 한국: 삼성, 현대, LG, SK, 포스코, CJ, 롯데, GS, 한화, 대우건설 등
  • 외국계: P&G, GE, Google, Nestlé, Bosch, ExxonMobil 등

TIP: 입사 전부터 해당 기업의 "해외 사업 부문", "글로벌 전략실", "해외영업팀", "PM팀" 등을 눈여겨보세요.

2) 해외 사업 관련 부서로 배치받아야 합니다.

주재원은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부서에서 발령됩니다:

  • 해외영업 / 글로벌 마케팅
  • 해외 생산·공장 운영
  •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플랜트/건설)
  • 주재사 관리·법인장 보조
  • 해외 법무 / 재무 / HR 등

3) 경력과 실적을 쌓아야 합니다.

  • 일반적으로 입사 3~7년 차부터 주재원 후보로 고려됩니다.
  • 해외 법인 파견 전에는 본사에서 충분한 실무 경험을 쌓아야 합니다.
  • 실적이 좋거나, 특정 국가 경험이 있거나, 어학 능력이 뛰어나면 더 유리합니다.

4) 어학 능력이 중요합니다

  • 영어는 기본이고 현지 언어(중국어, 스페인어, 베트남어 등)가 추가되면 더 큰 메리트가 있겠죠?
  • 외국계 기업이나 영어 기반 기업은 비즈니스 영어 능력이 중요합니다. (이메일, 미팅, 프레젠테이션)

5) 글로벌 감각과 적응력도 평가 요소입니다.

주재원은 ‘혼자 현지 법인에 가서 회사 대표로 활동’하는 위치이므로 아래 능력을 모두 평가합니다.

  • 커뮤니케이션 능력
  • 다문화 이해
  • 위기 대응 능력
  • 독립적인 업무 처리 능력 

 

5. 마무리

주재원으로 파견되는 것은 단순히 해외 발령 운이 아니라 계획적이고 전략적인 커리어 관리의 일부입니다.
실제로 기업에서는 글로벌 전략과 인재 관리 정책에 따라 치열하게 선발한다고 하죠. 관심이 있다면 입사 전부터 전략적으로 준비를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